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AFE{pass} 포인트작 가이드 - 포인트작

by Web3 꼬맹이 2024. 6. 9.

 

전 safe{pass} 포인트작 가이드에서 

Safe wallet의 Jumper 프로필 xp에서 이슈가 있어서 

다시 가이드를 작성을 해볼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꼬맹입니다.

이번 가이드에선 SAFE{pass}에서 최대한 리스크를 적게 감수하되

한번에 최대한 많은 파밍을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물론 이걸로 부족하시다 느껴지시면 제 두뇌의 한계일 수 있습니다.)

 

우선 아직 Safe{pass} 의 준비단계를 마치지 않으셨다면 

전글을 보고 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전글보러가기

 

SAFE{pass} 포인트작 가이드 (포텐셜 에어드랍) - 준비단계

안녕하세요 꼬맹이입니다.오늘은 대근본  SAFE 의 포인트작에 대해서 가이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텔레그램에서는 얼리부스터를 다루는 글을 작성하였었습니다.   중요한점, 주의할점 :1. 메인

dove2662.tistory.com

 

 

이번 가이드에선 여러분들의 선택들도 많이 필요하니 

신중하게 선택하셔서 대익절들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구상한 가이드에선 Volume과 자금이 꽤 중요합니다. 

곡괭이를 사용하는 다중파밍작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주세요.


 

1. 우선 크게 방향을 두가지로 나누어 봤습니다. 

    첫째는 Volume

    둘쨰는 Holding

 

2. 24. 5. 30 에 새로운 Safe{pass} 파트너가 나왔습니다.

    Morpho 입니다,  $19.35M으로 준수한 펀딩과 아직 TGE전이므로 

    아주 매력적인 파트너쉽입니다. 

 

   추 후 Safe{pass}의 Reward 시즌이 오면 파트너로부터 보상을 받는다고 나와있는데요 

   이러므로 더많은, 더 가치있는 파트너쉽을 맺을수록 Safe{pass}의 포인트의 가치는 상승합니다.

 

3. 아무래도 나와있는대로 Safe{pass} 파트너와의 활동도 언급한만큼 Morpho를 사용해주면 더좋겠죠

    현재 Safe{pass} 파트너쉽을 맺은 프로젝트들은 아래의 프로젝트들과 + Morpho입니다.

 

4. 현재 제가 구상한 가이드라인은 

    ENS + Morpho + (EigenLayer(시즌2) or 현물) 입니다.

   EigenLayer은 패깅이라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Wormhole 사용법도 맨아래 넣어봤습니다 Wormhole은 선택입니다.) 

 

 

5. 아래링크를 통해  Safe wallet으로 가주세요

https://app.safe.global/welcome/accounts

 

Safe{Wallet} – My accounts

Connect a wallet to view your Safe Accounts or to create a new one Connect a wallet

app.safe.global

 

 

6. 왼쪽 메뉴중 Apps 클릭 -> ENS 검색 ENS -> Ethereum Name Service 들어가기 

 

7. 최소금액은 약 0.008$ETH 정도합니다. (가스비 포함 $35정도)

    $35 정도 지불하실분만 진행해주세요. (하는이유는 파트너쉽에 있기 때문입니다.)

 

수수료개념으로 계산이 되어서 그런지 Signer 지갑에서 총 $35 가치의 $ETH가 나갑니다. 

최소금액이 나오게 길게 유저네임을 만들어줍니다. 

 

 

8. 계속 진행하셔서 완성시키면됩니다. 

     총 트랜젝션이 두번 찍힙니다. 

 

 

9. 다음은 다시 Safe Wallet 첫페이지로 가줍니다 ->

    왼쪽 메뉴중 Apps 클릭 -> Morpho 검색 -> Morpho Blue 클릭

 

 

 

현재는 Morpho의 Borrow에 $MORPHO 보상이 없습니다.

하지만 Morpho 모더가 말하길 현재는 없지만 곧 아래 링크에 나온

보상모델을 새롭게 도입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꼭 Borrow를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https://forum.morpho.org/t/mip65-new-scalable-rewards-model/617

 

MIP65 - New scalable rewards model

Summary This proposal introduces a new framework for distributing MORPHO rewards to Morpho Blue users. The framework defines a set of trusted vault curators and applies a uniform reward rate for each dollar supplied in a market listed by these curators. It

forum.morpho.org

 

 

7. Morpho의 Earn / Borrow 으로 갑니다.

    여기부터는 곡괭이 선택은 본인이 하셔야됩니다.

    (이부분에선 리스크를 확실하게 계산 잘해야됩니다.)

 

    다양한 루트가 있습니다. 

    EigenLayer 시즌2를 이용한 더블파밍 - 리스테킹( 6월 중순에 시즌1 페이지2가 종료 됨),

    안전하게 $BTC 현물로 가져가고싶으시면 $WBTC로 유동성 공급 후 Borrow

(Ethena도 한가지 루트여서 시도해봤지만 Safe월렛을 호완을 못시키더라구요 디코에서도 안된다네요)

EigenLayer는 패깅에서 리스크가있음

 

여기서 핵심은 Borrow 후 다시 유동성을 넣느냐 마느냐입니다.

-> *Safe{pass}의 자산볼륨 포인트를 위해서*

이부분은 여러분이 선택하시면 됩니다. 

Morpho의 파밍에 집중한다 -> 다시 유동성 공급 

Safe{pass}에 집중한다. -> 자산그대로 홀딩

(이부분에서 개인적으로 xp부스터가 없다면 Morpho에 집중하는게 맞아보입니다.)

 

그리고 Apy 계산과 파밍으로 얻는 포인트들과의

수지타산이 맞는지 확인 후 진행하시는게 중요합니다. 

 

<제가 한 방식>

(따라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예시 입니다.)

저는 $wstETH를 스테킹 후 유동성 공급 후 $WETH를 Borrow했습니다.

 

(1) Lido 들어가줍니다.

https://stake.lido.fi/

 

Stake with Lido | Lido

Liquid staking with Lido. Stake Ether with Lido to get daily rewards while keeping full control of your staked tokens. Start receiving rewards in just a few clicks.

stake.lido.fi

 

(2) Connect Wallet 클릭 -> Wallet Connect -> 오른쪽 위에 클립보드 복사 클릭 

 

(3) Safe Wallet 으로 돌아오셔서 오른쪽위 지갑연결 클릭 -> 붙혀넣기

 

(혹시몰라서 지갑연결 해두었습니다)

 

(4) 지갑연결이 되었다면 완료 스테이킹은 Jumper에서도 가능하니 

      Safe wallet으로 가기-> Apps -> Jumper 검색 후 들어가기

      ETH -> wstETH 스왑

 

(5) Morpho 들어가기 

    Compound - wstETH - WETH pool에 

     wstETH 유동성 넣고 WETH Borrow

이렇게 저는 진행해보았고 

 

이건 저의 방식이니 꼭  따라하실필요는 없습니다. 

괜찮은 더좋은 곡괭이들이 있으니 저의 방식은 그냥 참고만 해주세요

(저는 부스터가 있기때문에 여기서 더진행을 안하기로 했습니다.)

 

 

8.  Jumper 사용하기 (24. 6.12 수정)
     아무래도 Safe{pass}의 볼륨작을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을 하던중 Signer로 지정한

     메타마스크로 Jumper를 진행하다가 트랜젝션 흔적을보니 Safe wallet으로 찍은 트랜젝션이

     모두남아 있던걸 확인헀습니다.

 

     그럼으로 저는 9월까지 각달마다 Jumper의 Swap 볼륨은 Safe Wallet으로 채울려고합니다.

     ( Safe{pass}포인트 + Jumper Swap볼륨)

 

    Safe Wallet 들어가기 -> Apps -> Jumper 검색 -> 들어가기 ->

                                          Jumper 조건에 맞게 Swap(볼륨) 트랜젝션 찍기

 

 

9.  Assets Point (24. 6. 12 수정) 

    그리고 저는 현재 Safe{pass}의 포인트 내용중 자산홀딩에서 궁금한점이 많아서 

     고객센터에서 대화를 해본결과 Safe Wallet에서 가격이 뜨지않는 자산이 많은데

     (ex: 리스테킹 ETH, 밈코, 다양한 토큰들)

     이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포인트를 측정해줄것이냐 물어본 결과 

     ->

      코인게코, Dune으로 추적이 가능한 자산은 모두 Safe{pass}포인트에 반영될것이라고 답이 왔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더리움 메인넷으로 가능한 하고싶었던 예치작들은 모두 Safe Wallet으로 진행중입니다. 

      메인넷 예치작을 고민중이셨던분들은 Dune, 코인게코로 추적가능한 프로젝트라면 

      Safe Wallet으로 진행해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10. Euler v2 (여름에 출시예정)

개인적으론 Safe{pass}의 파트너쉽 중 한 프로젝트인 

Euler 의 V2 랜딩 디앱을 기다려 보는것도 나쁘지않지만(여름에 출시)

기다리는 시간이 아까우니 가볍게 Morpho로 여러파밍을 해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11.  Wormhole 사용 

 

가스비 이슈 soon..

 

 


 

이렇게 Safe{pass}의 파트너쉽 프로젝트들을 사용해보았는데

개인적으로 Morpho는 꼭 챙겨야된다고 생각이 들었기떄문에 

억지로 가이드에 집어넣었습니다.

추 후 Safe{pass}가 어떻게 먹여줄진 모르겠지만 

가스비는 꼭 멘징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Euler V2가 나오면 새롭게 가이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여름에 출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