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꼬맹이입니다.
오늘은 대근본 SAFE 의 포인트작에 대해서 가이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텔레그램에서는 얼리부스터를 다루는 글을 작성하였었습니다.
중요한점, 주의할점 :
1. 메인넷으로 진행하기 떄문에 기위가 최대한 낮을떄 작업하기.
2. Safe wallet으로 자금 이동할떄 조심하기
3. 홀딩중인 자금(메인넷)은 Safe wallet에 넣어두고 잔고 늘리기
4. 리스크는 생각하고 계산잘하고 작업하기.
(1) 준비물:
1. 포인트 부스터를 원한다면 여유있는 만큼의
$SAFE( Contract : 메인넷 - 0x5afe3855358e112b5647b952709e6165e1c1eeee)
Safe wallet을 통해 스왑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방법은 <2> 4-1에 적어놨습니다.
($SAFE의 가격하락 리스크는 본인이 관리 하셔야됩니다.)
2. 높은 Volume과 높은 가스비, 많은 트랜잭션 수 를 위한 여유 자금 (메인넷)
3. Safe wallet (아래 가이드에 만드는법 적겠습니다)
(2) 작업 중심 내용:
1. Volume - 트랜잭션을 찍을떄 볼륨이 높을수록 포인트가 많이쌓입니다.
2. Count - 트랜잭션을 찍은 횟수만큼 포인트가 쌓입니다.
3. Holding - Safe Wallet에 홀딩하고 있는 자금이 많을수록 포인트가 많이 쌓입니다.
(3) Safe{Pass}는 메인넷과 많은 자본으로 작업을 하기떄문에
슬리피지와 가스비의 리스크를 생각하고 작업하셔야됩니다.
또한
Safe{Pass}는 래퍼럴이 없고 포인트 제도 이기때문에 한계정으로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4) 그리고 메타마스크와 Safe Wallet을 사용해서 두개의 지갑으로 사용해서 두개의 Jumper Profile이 만들어져서 시빌이 걱정되어 Support 모더 한테 물어보니 같은 지갑(signer)으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때문에 시빌이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시빌이 아니라고 컨펌 받았습니다.
- 이부분 결론은 Safe wallet으로 트랜젝션을 찍어도 Signer지갑의 프로필로 xp가 지급됩니다.
(그래서 Jumper를 챙기시는분은 Safe wallet으로 Swap 볼륨을 채우시는것도 좋은 방법인것같습니다.)
Safe{pass}의 시즌1은 올해 9월30일까지 입니다.
Safe Wallet이 없으신분은 <1> 부터 하시고
있으신분은 <2> 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1> Safe Wallet 만드는법
비용: 약 0.01 $ETH
1. 대부분의 에드헌터분들께서는 만들어놓으셨겠으나 아직 만들지 않은 분들은 따라 만들시면 됩니다.
2. 아래 링크를 통해 들어가주세요.
https://app.safe.global/welcome/accounts
Safe{Wallet} – My accounts
Connect a wallet to view your Safe Accounts or to create a new one Connect a wallet
app.safe.global
3. 지갑 연결 후 -> Create account -> Ethereum으로 맞춰주시고 이름 지으시고 Next -> Singers 본인 주소로 넣으시고 Next ->
4. Pay now 설정 후 약 0.01 $ETH 지불 후 Create -> 완료
<2> Safe{PASS} 포인트 작업
1. 아래링크를 통해 Safe wallet으로 들어와주세요. (메인넷)
https://app.safe.global/welcome
Safe{Wallet} – Welcome
Unlock a new way of ownership The most trusted decentralized custody protocol and collective asset management platform. Stealth security with multiple signersMake it yours with modules and guardsAccess 130+ ecosystem apps
app.safe.global
2. 기본적으로 트랜잭션은 Singer로 설정한 지갑으로 찍히기 때문에
가스비는 Singer 지갑으로 채워주셔야됩니다.
(메마주소로 Safe wallet signer로 설정하셨다면 메마에 가스비를 채워야됩니다.)
3. 본인의 Safe wallet의 주소로 Swap, Bridge를 위해 사용할 자금을 보내주세요 (메인넷)
본인의 주소는 아래 사진과 같이 왼쪽상단에 ' eth:~~ ' 클릭하시면 복사됩니다.
(복사될때 ' eth: ' 도 같이 복사되니 자금을 보낼떈 ' eth: ~~ ' 를 지우시고 보내시면 됩니다.
4-1.
(1) 본인이 $SAFE를 락하고 부스터를 얻고싶으시다면
왼쪽 메뉴중 Apps -> Jumper 검색 -> 클릭 ->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보낸 자금 Swap to contract: 0x5afe3855358e112b5647b952709e6165e1c1eeee
(아래사진 2개 참고)
send to wallet은 Swap일때는 오른쪽 루트를 클릭하시면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2) 스왑하셨다면 아래링크로 이동해주세요.
https://safe.global/pass
Safe{Pass} - Earn points using your Safe account on Ethereum | Safe
Lock SAFE tokens and unlock rewards for your Safe account activity including with Safe{Pass} Partners.
safe.global
(3) Get safe{Pass} 클릭 -> 자신이 만든 Safe wallet으로 Use app
(4) Locking 으로 이동 -> 아래 원하는 갯수만큼 Lock 하시면됩니다. (가스비 발생)
하시고나면 부스터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4-2 본인은 $SAFE 가격하락 리스크를 안쥐고(노부스터) Safe{Pass} 포인트작만 하실려는분은
왼쪽 메뉴중 Apps
5. Safe wallet의 Jumper프로필에 xp가 지급되지 않는 이슈가 있어서 이 글은
Safe{pass} 준비단계 까지만 남겨놓겠습니다.
5. Safe wallet에서 아직 토큰이 안나온 Apps들 중 (더블파밍이 가능) 할만한건 두개 있습니다. 1. Jumper 2. Squid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면 Safe wallet으로 사용가능한 체인은 이더리움 메인넷 뿐이라는점 입니다. 그래서 Jumper에서도 할 수 있는 작업이 트랜잭션 횟수, 브릿지 볼륨, 스왑 볼륨 3개입니다. 하지만 가스비가 비싼 메인넷이라 횟수는 거의 포기해야됩니다. 브릿지 시 받는(Send to) 주소는 저는 제 메타마스크 주소로 설정해두고 보냅니다. 기존에는 Jumper에서 to Arbitrum으로 $ETH가 가장 좋은 더블파밍이였지만 메인넷에서 아비트럼으로 브릿지는 상상을 초월하는 fee를 보여줍니다.
그래서 서칭을 조금 해서 찾은 내용이
Hop도 Connext처럼 500k $ARB를 받았더라구요Hop에서 공식적으로 브릿지 투 언을 공지하진 않았지만 Connext의 말도안되는 Fee를 내기보단 Hop을 이용해서 Arbitrum으로 브릿지,Across를 이용해서 optimism으로 브릿지 해주시면 트리플 파밍이 됩니다.(Jumper 포인트, Safe{Pass} 포인트, 브릿지 투 언) Jumper는 6월 말까지가 시즌2 종료니 2달동안 Safe{Pass}는 Hop을 이용해서 아비트럼으로 브릿지Across를 사용하여 옵티미즘으로 브릿지 해주시면 될듯합니다. (5월부터 꼭 찍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Jumper에서 Swap과 브릿지는 기준에 맞게 볼륨 찍어주시면 될것같습니다. 그런데 Safe 포인트는 볼륨이 높을수록, 횟수가 많을수록 다다익선이니 계산 잘하셔서 진행하시면 될듯합니다.
Safe - Jumper 결론1. 메인넷 -> 아비트럼 Hop 사용해서 브릿지2. 메인넷 -> 옵티미즘 Across 사용해서 브릿지3. 위 사진 기준에 맞게 최대한 맞춰보기 (억지로 리스크 감수하면서 찍지말기)
두번째 Squid는 사실 제가 잘몰라서;;
조금 서칭하고 글을 수정해보겠습니다.
여기까지 이고 Safe는 정말로 중요한 프로젝트입니다.
저는 $SAFE 비중이 큰만큼 매우 집중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며
개인적인 생각으론 Web3에서 가장중요한 프로젝트중 5위안에는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모두 본질을 잃지 맙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