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Nodekit - 최초의 Superbuilder Javelin / 간단한 에어드랍작

by Web3 꼬맹이 2024. 8. 17.

안녕하세요 꼬맹이입니다. 

오늘은 Nodekit에 관련해서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딱히 아직 중요한 에어드랍작업은 없지만 

굉장히 괜찮은 내러티브가 맘에 드네요.

Nodekit의 내러티브에 관해 간단하게 소개드리겠습니다. 

(잠재적인 에어드랍을 위한 간단한 작업포함)

 

계속 팔로업해왔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가치가 올라가는게 보입니다.

다양한 파트너쉽과 기술적 발전과 흥미로운 내러티브를 지니고있습니다. 

 

Nodekit은 공식적으로 밝힌 펀딩은 금액은 $1.2M 으로 아직 undisclosed 라운드 금액은 밝히지 않은 

상황입니다. 

 

해볼만한 작업은 Discord 활동과 Zerly 이며

Discord 활동은 아래 사진을 통하여 Discord 활동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UTC는 한국시간에서 + 9시간 하시면됩니다.)

Nodekit Linktree(Discord 링크있습니다.)

 

두번쨰 Zerly 작업은 

아래링크를 통해서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https://t.me/Dove262/339

 

파밍하는 꼬맹이

24. 07. 25 Nodekit 전부터 팔로업하던 공유 시퀀서 L1 솔루션입니다. 꽤 근본있게 펀딩 받은 곳입니다. 놓치긴했는데 6월11일에 zealy가 시작했네요 지금 해볼만한건 디스코드 활동, zealy 정도 되는것같

t.me

 

이제 내러티브에 관한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할건데 관심 없으시면 여기까지만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아래글은 트위터에 올릴꺼라 쓰는거라 안읽으셔도 됩니다!


L2 에서 시퀀서의 역할은 정말 중요합니다.

시퀀서는  L2 사용자로부터 트랜잭션을 받아 실행, 최종적으로 트랜잭션을 정렬 및 압축 후 형성된 배치를 L1에 제출

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L2는 중앙 집중식 시퀀서 솔루션을 사용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중앙 집중식 시퀀서 솔루션에는 몇몇 문제로 인해 동시에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없고, 부적절한 MEV(MEV - 블록 보상 및 거래 수수료 외 블록 생산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대 가치) 이익을 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분산형, 공유 시퀀서에 대한 솔루션들을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Nodekit는 사일로화된 생태계, 래핑된 자산, 브릿지의 위험 그리고 중앙 집중식 시퀀서를 사용하는 현재의 Layer 2의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내놓았습니다. 

여러 체인을 위한 일종의 블록 빌더 Superbilder인  Javelin으로 최초로 체인 간 Atomic Execution(원자적 실행 - 각 롤업의 블록에 포함된 번들 Tx가 모두 성공적으로 실행되거나 모두 실행되지 않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Javelin으로 공유 시퀀서 뿐만아니라 중앙 집중형/분산형 시퀀서가 있는 L2, 앱별 롤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구동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Javelin의 획기적인 Superbuilder 기술을 통해 최초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체인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최초의 SuperbuilderJavelin을 통해 롤업의 구성성을 회복하고,

롤업의 구성성을 회복하고 유연하고 확장성을 제공하며

체인 간 Atomic Execution을 가능캐 하고,

SEQ(분산형 공유 시퀀서 L1)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제품에서 플러그인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입니다 

저도 너무 어려워서 글을 잘 못적긴했으나 

잘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몰라도 꽤 괜찮은 내러티브인듯하고 

굉장히 매력적이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