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rcium(Elusiv) - 병렬화 신뢰성 컴퓨팅

by Web3 꼬맹이 2024. 6. 28.

안녕하세요 꼬맹이입니다. 

 

오늘은 Arcium(Elusiv) 에 대해서 자세히 글을 작성해 볼려고합니다.

Elusiv에서 Arciun으로 리브랜딩 후 굉장한 솔루션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병렬화 기밀 컴퓨팅입니다. 

 

Arcium은 현재 프라이빗 테스트넷을 진행중이며 추 후 3번의 테스트넷 진행 후 메인넷으로 향한다고 합니다. 

Arcium으로 리브랜딩 하면서 Coinbase, LongHash Ventures 등 에게서 $5.5M 펀딩을 추가로 받으면서

화려한 컴백을 하였습니다. 

 

 

백서를 읽어보았을떄 굉장히 준비를 많이하고 리브랜딩을 한것으로 보이고 

굉장히 강력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글과 함께 알아가보시죠!

(읽어보시기 귀찮으신분은 제일아래 결론만 적어둔것이 있습니다.)


 

<1. Arcium의 백서의 내용을 요약한 소개글입니다.>


Arcium은 병렬화된 신뢰성 컴퓨팅 네트워크 입니다. 
Arcium은 데이터에 의존하는 산업에서 유용하며 
MPC(Multi-Party Comutation)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여러 노드로 구성된 분산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강력한 데이터 보안을 보장합니다. 

현재 Arcium 네트워크는 현재 solana 체인에서 실행되는 오케스트레이션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계산, 계산 작업 보상, 네트워크 무결성 유지를 위한 처벌 등 네트워크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계산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엄격한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합니다.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되며
기본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통찰력을 추출하고 처리합니다.
기존 블록체인 기술과 쉽게 통합되어 개발자의 학습곡선을 줄이고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Arcium 네트워크의 주요기능엔 신뢰 수준에 따라 MPC 설정을 사용자 정의할 수있는 유연한 구성옵션,
이러한 구성 가능성은 Arcium 네트워크를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Arcium 네트워크의 목적>  
Arcium 네트워크는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부문에 걸쳐 안전하고 
분산된 공동 데이터 계산을 가능케합니다.
기존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 관련된 위험 없이 효율성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줍니다. 

<3. 주요 용어> 
MPC(Multi-Party Computation) : 여러 사용자가 비공개로 입력을 유지하여 
개별입력에 대한 함수를 공동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 기술입니다.

MXE(Multi-Party eXecution Environment) :
(다자간 실행 환경) 네트워크에서 실행될 멀티파티의 계산을 위한
매개변수를 정의합니다. MXE는 사용자가 계산할 작업을 정의하고, MXE의 정의는 데이터 처리등을 
포함한 모든 관련 매개변수로 구성됩니다. 
MXE는 지속적(무한정 재사용), 일회용(MXE가 한 번의 계산에만 사용)으로 정의됩니다. 
영구 MXE를 사용시 사용자는 상태를 해독하지 않고도 MXE의 게산을 통해 직접 수정할 수 있는
영구 암호화 상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4. Arcium 네트워크의 주요 기능>

1 기밀 컴퓨팅 - MXE의 분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MPC를 수행함으로써 임의 기밀 컴퓨팅을 지원합니다. 

2. 실행 보장 - MXE에서의 계산은 블록체인 오케스트레이션 메커니즘으로 실행 되어 관리하고 

Arcium의강력한 프로토콜을 통해 보장됩니다. 담보를 스테이크하고 요구사항에 준수하기 위해 

페널티를 주고 합의된 프로토콜에서 벗어나는 노드 없이 의도된 계산대로 수행 보장합니다.

3. 검증, 투명성 - Arcium은 기본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계산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공개 감사 가능성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 이러한 투명성은 참여자 간의 신뢰 구축과 계산 프로세스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4. 온체인 오케스트레이션 - Arcium은 Solana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온체인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노드와 스태이킹 및 슬래싱에 대한 인센티브를 관리하고 이 기반으로 투명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5. 개발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 Arcium은 쉬운 접근과 상호작용을 위한 포괄적인 Solana SDK를 모두 제공하고 
이러한 이중 접근 방식은 비전문가의 사용 용이성과 개발자의 유연성을 높입니다.

6. 다중 체인 - 초기에는 Solana를 운영에 사용했지만 추 후 여러 체인과 환경에 호환되도록 설계 되어있습니다. 

 

<5. 메인넷 전까지 남은 단계>

 

현재 프라이빗 테스트넷이 진행중이며 아래 로드맵 사진처럼 

앞으로 3번의 퍼블릭 테스트넷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이떄 많은 디앱들과 스태킹, 노드 등 다양한 기능을 테스트해볼 기회가 있을것같습니다.

그래서 인센티브가 있을것이냐...?? 

-> 그건 장담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해야합니다.

    이정도로 괜찮은 프로젝트 찾기가 어렵습니다.

 

 

 

<6. 결론은..>

 

초기에는 Solana 체인에서 시작하며(추 후 다양한 체인),

MXE의 분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MPC를 수행하며 투명하고 합의된 프로토콜에서 벗어나는 노드 없이 

보장된 계산 프로세스로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개발자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노드에 대한 인센티브를 보장합니다.

 


이게 돈이 되냐? 

이게 먹여살려주냐? 

이런거 떄문에 적은 글은 아니고 정말 괜찮은 프로젝트라는걸 소개시켜드릴려고 작성한 글이며

앞으로 계속 팔로업하는 이유도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