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중서명 지갑(multi-sig)과 계정 추상화(AA)

by Web3 꼬맹이 2024. 4. 10.

안녕하세요 꼬맹이 입니다.

 
오늘은 다중서명(multi-sig)과 계정 추상화(AA) 에 관해 글을 작성해 볼려고합니다.
투자라는게 잘알고 하면 좋으니 
정말 중요한 부분이고, 꼭 끝까지 읽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냥
다음 프로젝트들의 글을 쓰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 이더리움의 ERC-4337 - 계정 추상화

 
대부분의 Web3 사용자분들은 ERC-4337 감사가 완료 되기전
EOA(외부소유계정, ex 메타마스크)를 사용하고 계십니다.
현재도 그렇구요.
 
계정 추상화(AA)의 뜻은 광범위하지만 EOA의 기능을
계약계정(contract account) 에서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개인키 관리 부담을 줄여 진입장벽이 높은 EOA의 장벽을 낮추고 
Web2계정을 활용하여 Web3에서 경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계약계정 기반의 지갑 스마트 지갑은 EOA의 많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나온 솔루션으로 
EVM에서 나온 솔루션중 대표적으로 SAFE 가 있습니다.
하지만 EIP-4337이 구현되고 ERC가 되기전에 개발자가 분산되고 안전한 방식으로 
사용자 계정을 정의할 수 있는 표준이 없었죠.
 
계약계정은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마트 계약입니다.
그동작들은 스마트 계약내의 코드로 결정되며 개인키에 제어되지않습니다.
이러하여 스마트 지갑은 계약계정의 기능을 활용하여 
다른 모든 토큰으로 가스비를 지불할 수 있고 또한 다른이가 대신 가스비를 지불가능,
반복결제, 세션키, 검증에 필요한 시간과 리소스를 줄임 , 등 
EOA보다 발전되고 사용자 친화적인 대안으로 됩니다.
(Zksync의 Paymaster는 EIP-4337과 매우 유사하다고 합니다)
 
결국 
 
계정 추상화(AA)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가 '블록체인' 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는지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것입니다. (그만큼 유연하고 효율적)
 


(2) 솔라나의 계정 추상화

 
솔라나는 근본적으로 EVM과 아키텍쳐가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보다 유연하여 계정 추상화가 가능하게 하는 체인입니다.
솔라나의 계정모델은 모든 데이터 유형을 담을 수 있는 스토리지 버킷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데이터, 토큰은 물론 특정 프로그램-스마트 계약과 관련된 모든 정보 저장 가능)
 
솔라나의 스마트 계약은 프로그램으로 명명됩니다.
솔라나의 계정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프로그램 계정- 코드를 저장하는 스마트 계약이며 프로그램 으로 더 자주 지칭됩니다.
데이터 계정 - 토큰이나 데이터를 받을 수 있지만 코드를 실행할 수는 없습니다.
 
쉽게
프로그램 계정은 이더리움의 계약계정
       
데이터 계정은 이더리움의 EOA 와 비슷합니다.
 
기본적으로 솔라나 지갑에서는 데이터 계정, 즉 실행 불가능 계정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계정은 이더리움의 EOA와 유사점이 있습니다.
토큰관리, 스마트계약, DAPP과 상호작용할떄 쓰이는 점입니다.
비록 EOA보다 추가 기능을 지원하지만, 여전히 트랜잭션에 서명 하는 단일방법 즉
개인키 사용만을 제공하여 초보자분들껜 비우호적입니다.
 
하지만 솔라나를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PDA(프로그램 파생 주소) 입니다.
PDA 란 개인 키가 없는 솔라나의 계정입니다.
솔라나의 계정추상화 기능을 더욱 확장하는 핵심기능입니다.
(Jumper의 PDA는 private data asset의 약자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솔라나의 계정모델이 프로그램에서 개발자들에게
특정 계정을 생성하고 관리가능하게 규칙과 논리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로그램은 데이터 계정과 반대로 실행가능한 계정입니다.
이는 실행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때 PDA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트랜잭션의 서명에 일련의 규칙과 
메커니즘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통해 프로그램은 
개인키가 없이도 솔라나 네트워크가 인식하고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어계정(PDA)을 대신하여 다양한 온체인 작업을 승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PDA는 결국 솔라나 계정 추상화의 핵심 기능입니다.
개인 키 없이 작업 수행이 가능하여 최종 사용자의 
관리 부담이 줄어듭니다.
 


(3) 다중서명(multi-sig)

 
다중서명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서명을 요구함으로써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 실행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 입니다.
 
(다중서명은 짧게 설명)

 
 


이렇듯,
 
 
다중서명과 계정 추상화는 웹3의 중요한 기능이며 
계정 추상화의 경우 2023년 3월에 ERC-4337의 감사가 완료되어 
다양한 프로잭트들이 나오고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의 글들은 다중서명과 계정 추상화쪽으로 핀트를 맞춰볼려고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부분이고
좋은 프로젝트들이 많기때문에 챙기셔야됩니다!
 
그럼 다음글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글 보러가기
(추 후 업데이트 예정)
 

댓글